본문 바로가기
기업분석

케이아이엔엑스(KINX) : 데이터 수요 증가 최대 수혜주(데이터 센터 관련주).

by 하히후헤호잇! 2023. 1. 15.
728x90
반응형

출처 : KINX,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.

케이아이엔엑스는 기업 고객을 대상(B2B)으로 인터넷데이터센터(IDC), 인터넷 연동(IX), 클라우드 등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.

 

케이아이엔엑스 주목 포인트.

- 국내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.

- 중립적 서비스 선호 경향.

- 디지털 전환 가속화.

-  5G 보편화 등의 영향으로 데이터 사용량 급증.

 

728x90
반응형

 

국내 데이터센터 현황

- 2000년 53개에서 2020년 156개로 증가. 대부분이 기업 자체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엔터프라이즈형.

- 상업용 데이터센터 비중은 30% 수준에 불과해 공급이 타이트한 상황.

- 중립적 서비스의 경우 아마존웹서비스(AWS), 마이크로소프트 애저(MS Azure) 등 해외 클라우드 사업자의 선호가 강해져 케이아이엔엑스의 IDC 서비스 수요 꾸준히 증가할 전망.

 

출처 : KINX,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.

 

케이아이엔엑스 사업부문(데이터센터와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).

- IDC(Internet Data Center).

- IX(Internet exchange).

- CDN(Contents Delivery Nedtwork).

- 클라우드 서비스.

 

2022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비중.

- IDC/CDN/솔루션 : 60%.

- IX : 9%.

- 자회사 에스피소프트 : 31%.

 

출처 : KINX,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.

 

회사 연혁 및 비즈니스 모델.

- IX 사업을 바탕으로 IDC, CDN,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.

- IX 사업은 포트 사용에 따른 요금이 부과.

- CDN,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량에 따라 매출 발생.

- IDC 사업은 서버, 네트워크 장비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(Rack)에 대한 임대, 공간 관리, 데이터 사용량에 비례하여 매출 발생.

- KINX의 IDC는 도곡(자가), 가산, 상암, 분당, 평촌 5개 센터 보유.

- 신사업 및 외연 확장을 위해 경기도 과천시에 신사옥 및 데이터 센터 신축을 진행 중.

- 2024년 상반기 완공 및 서비스 개시를 계획.

- Capex 1600억 원 규모,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수준의 1.4배 수준.

-  2024년 시점 완공 후 대규모 감가상각비 증가 및 고정비 증가로 단기적 영업이익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.

 

출처 : KINX,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.

 

케이아이엔엑스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.

- 지난 10년 연속 성장세 지속.

- 매출, 영업이익 연평균 성장률 각각 13.4%, 15.8%.

- IDC 사업에서 고객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추세적 성장의 주된 배경.

- IDC 사업에 있어서 중립적 서비스를 가져가기 때문에 매년 성장 가능. 고객이 원하는 데이터 센터 환경 구성, 네트워크 회선 선택 등 다양한 인프라 옵션 제공.

- 통신사 및 대기업 계열 SI 업체들의 약점이 KINX의 경쟁력.

 

재무 및 기업의 펀더멘털.

 

매출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매출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의 증가에 비해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증가세가 더 크다.

 

영업활동에서의 현금이 매년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.

 

컨센서스 상 꾸준한 성장이 보인다.

 

부채비율이 적고 당좌비율 유보율이 높아 안정적인 기업임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